OLD

미국 대딩_과학철학 교재 읽기 (001)

새로운 미래 2023. 7. 10. 23:58
반응형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이란 무엇일까?

'과학이란 무엇인가(What is Science)?'라는 질문에 대해 철학적 답을 구하는 공부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 물음은 얼핏보면 아주 쉬운 질문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Chapter 1

What is science?

 

What is science? This question may seem easy to answer: everybody knows that subjects such a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constitute science, while subjects such as art, music, and theology do not. But when as philosophers we ask what science is, that is not the sort of answer we want. We are not asking for a mere list of the activities that are usually called ‘science’. Rather we are asking what common feature all the things on that list share, i.e. what it is that makes something a science. Understood this way, our question is not so trivial.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의 과목이 과학이고, 미술, 음악 그리고 신학 등의 과목은 과학이 아니잖나?'라는 식으로 목록을 나열하는 것은 과학철학자들이 바라는 답이 될 수 없다. 그보다는 '그러한 목록상 과학으로 분류된 학과목이 지닌 공통적인 특징, 즉 무언가를 과학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이 질문은 더이상 그다지 가볍게 다가오지 않는다.

 

But you may still think the question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Surely science is just the attempt to understand, explain, and predict the world we live in? This is certainly a reasonable answer. But is it the whole story? After all, the various religions also attempt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world, but religion is not usually regarded as a branch of science. Similarly, astrology and fortune-telling are attempts to predict the future, but most people would not describe these activities as science. Or consider history. Historians try to understand and explain what happened in the past, but history is usually classified as a humanities subject not a science subject. As with many philosophical questions, the question ‘what is science?’ is trickier than it looks at first sight.

하지만, 여전히 이 질문이 비교적 단순명료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확실히 과학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며, 예측하는 일이므로, 이렇게 답하는 것은 분명 합리적인 답 중 하나이다. 하지만 그게 다일까? 따지고 보면, 다양한 종교 역시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지만 종교를 과학의 분과로 여기는 사람은 없지 않은가. 또, 점성술이나 점복술 역시 미래를 예측하려 시도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활동을 과학이라 기술하지는 않는다.역사학의 경우는 또 어떠한가? 역사가들은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부단히 애쓰지만, 우리는 역사학을 인문학의 분과고 생각하지, 과학이라 여기지는 않는다. 상당수의 철학적 물음이 그렇듯, '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역시 생각하면 할수록 상대하기 까다롭다(tricky: difficult to deal with)고 느끼게 된다.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science lie in the particular methods scientists use to investigate the world. This suggestion is quite plausible. For many scientific disciplines do employ distinctive methods of enquiry that are not used in non-scientific enterprises. An obvious example is the use of experiments, which historically marks a turning-poi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Not all the sciences are experimental though—astronomers obviously cannot do experiments on the heavens, but have to content themselves with careful observation instead. The same is true of many social sciences.

(다행스럽게도?) 많은 사람들이 과학이 달리보이게 되는 차별적인 특징은 과학자들이 세계를 탐구할 때 사용하는 특정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상당히 그럴싸한 제안이 아닐 수 없다. 다수의 과학 분과에서 실제로 비과학적 분과들이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방법을 준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누가봐도 분명한 예 중에 '실험'이 있는데, 이는 현대 과학이 발전하는데 있어 분수령이 되었던 기법 중 하나이다. 물론 모든 과학이 다 실험기법을 준용하는 것은 아니다. 천문학자들은 천체를 놓고 실험을 할 수 없는 탓에 대신 꼼꼼한 관측기법을 사용하는 것에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사정은 사회과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science is the construction of theories. Scientists do not simply record the results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a log book—they usually want to explain those results in terms of a general theory. This is not always easy to do, but there have been some striking successes. One of the main tasks of philosophy of science is to understand how techniques such as experimentation, observation, and theory construction have enabled scientists to unravel so many of nature’s secrets.

과학만이 지니는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을 들자면 '이론의 구축'이라 하겠다. 과학자들은 실험하고 관찰한 결과를 단순히 일지에 기록하는 일에 만족하지 않는다. 그들은 대개 '일반적인 이론'의 견지에서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기를 원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항상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실로 놀라운 성과를 거둔 경우도 있었다. 과학철학이 맡은 주요 임무 중 하나가 바로 실험, 관찰, 및 이론 구축이라는 기법을 통해 과학자들이 수많은 자연의 비밀을 풀어낼 수 있었던 과정을 이해하는 일이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나마 과학사(History of Science)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특히 고대로부터 중세까지를 서양 과학계를 지배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관이 근대에 접어들며 어떤 과학자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 논파되었는지, 즉 근대 과학 혁명의 역사를 간략히나마 고찰해 보는 일이 필요하다.

과학철학계에서는 이런 공부를 보통 '근대 과학의 기원(The Origins of Modern Science)'을 고찰하는 일이라 말한다.

 

다음글 보기: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반응형